서울시, 1591억 원 '민생경제 지원대책' 자영업자‧중소기업 긴급 지원

정승훈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7 14:23:37
  • -
  • +
  • 인쇄
조기추경으로 1591억 원 확보, 정부 손실보상 사각지대에 투자…5월 초부터 순차지원
▲ 서울시청

[무한뉴스=정승훈 기자] 서울시가 긴급 조기 추경으로 1591억 원을 확보해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가 누적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고용취약계층 등을 위한 '서울시 민생경제 지원대책'을 전격 시행한다.

자금지원, 일자리 등 직접지원 사업 1415억 원, 융자·상품권 발행 등 간접지원 사업 176억 원(실제 지원 규모 2350억 원)으로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을 합한 실제 지원 규모는 3765억 원에 달한다. 5월 초부터 순차적으로 지원이 이뤄진다.

우선, 코로나19로 매출이 줄었지만 정부 손실보상을 받지 못한 소상공인 7만 7000명에게 ‘경영위기지원금’ 100만 원을 지급하고 소상공인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4무(無) 안심금융’은 코로나19가 발생한 ’20년 이후 창업 또는 재창업한 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약 1만 명에게 추가 지원한다.

원상복구 등에 필요한 돈이 없어 폐업을 못 하는 자영업자에겐 300만 원을 지원해 사업정리와 재기를 돕는다. 코로나로 폐업했다 재창업에 성공한 소상공인에겐 ‘고용장려금’ 150만 원을 지원한다. 영세한 도심제조업 1000개 사에 ‘작업환경개선비’를 최대 8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중소기업 2500개 사에는 ‘매출채권보험료’의 50%를 지원해 연쇄도산을 방지한다.

서울시는 코로나19 일상회복이 큰 충격 없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결산 전 조기 추경으로 확보한 재원을 신속하게 집행해 민생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의승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19가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지만 2년 이상 손해가 누적된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는 여전히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결산 전에도 불구하고 조기 추경을 단행해 확보한 재원의 신속한 집행을 통해 코로나19 장기화로 피로감이 극에 달한 시민들의 민생과 일상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 이번 '서울시 민생경제 지원대책'이 민생안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