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북자치도소방본부 “안전산행 주의 당부” |
[무한뉴스=정민정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가을 단풍철을 맞아 도내 산악사고가 매년 가을철에 집중 발생하고 있다며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도내 산악사고는 총 2,034건으로, 이 중 9월과 10월 두 달간 발생한 사고가 400건 이상(전체의 약 20%)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는 산악사고 738건 중 9월 118건, 10월 84건이 발생했고, 2023년에는 664건 중 9월 80건, 10월 88건이 집계됐다. 지난해(2024년) 역시 632건 중 9월 83건, 10월 62건으로 나타나 최근 3년 연속으로 가을철 두 달간 사고가 여름철보다 많았다. 사고는 대부분 산행 중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는 등 부주의로 발생했으며, 단풍철 등산객이 몰리는 시기에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산별 발생 현황을 보면 덕유산 192건, 대둔산 159건, 모악산 137건, 구봉산 137건, 지리산 123건 등으로, 사고의 상당수가 도내 주요 등산 명소에서 발생했다. 특히 완주, 진안, 무주, 남원 등 산악지대 관할 소방서의 출동이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실제로 최근에도 가을 산악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0월 11일 진안 주천면 구봉산에서는 등산객이 발을 헛디뎌 약 10m 아래로 추락해 다리 골절과 탈구 부상을 입었고, 10월 26일 완주 운주면 대둔산에서도 등산객이 3m 아래로 추락해 늑골이 골절됐다. 두 사고 모두 소방헬기가 출동해 부상자를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했다.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도내 주요 산에서 가을 단풍을 만끽하기 위한 등산객이 늘면서 산악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사고 예방을 위해 도민들에게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산행 안전수칙은 ▲사전 등산로 파악 및 장비 꼼꼼히 확인하기 ▲하루 산행은 8시간 이하로, 해지기 두 시간 전 하산하기 ▲등산로가 아닌 곳 출입하지 않기 ▲산행 전후 스트레칭으로 부상 예방하기 ▲산행 중 음주나 단독 산행 삼가하기 ▲우천 시 계곡 산행 피하기 등이다.
산행 중 부상이나 길을 잃는 등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이동을 멈추고 주변 산악위치표지판 번호를 확인해 기억하고, 휴대전화 위치 공유 기능을 활용해 즉시 119에 신고하면 정확한 위치 파악과 신속한 구조에 도움이 된다.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장은 “가을 산행은 경관이 아름답지만 방심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도민 모두가 안전수칙을 실천해 즐겁고 안전한 단풍산행이 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