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한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2020년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기반과 서비스 관련 지표는 꾸준히 개선되어 지식정보사회, 문화예술사회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확충에 따라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수는 2018년 1,096개관에서 2019년 1,134개관으로 38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45,723명으로 전년 대비 봉사대상 인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 이용객이 더욱 편안하고 쾌적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 공공도서관 수를 살펴보면, 경기 277개관, 서울 180개관, 경남 72개관, 전남 70개관, 경북 66개관, 충남 63개관 순으로 공공도서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공공도서관은 경기지역에서 13개관, 서울지역에서 7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지역의 도서관 확충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를 볼 때 여전히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의 공공도서관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의 장서 수는 약 1억 1,508만 권이며 1관당 장서 수는 10만 1,486권으로 0.8% 증가,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22권으로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공도서관 수뿐만 아니라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증가해 공공도서관의 전반적인 기반시설과 서비스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공공도서관의 직원 수는 17,558명으로 2018년 16,576명에서 982명 증가했다.
이는 1관당 직원 수로 살펴보면 15.5명으로 2018명 15.1명에서 0.4명 증가한 것이다.
공공도서관 직원 중 사서직은 6,794명으로 1관당 사서직 직원 수는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2019년 공공도서관 연간 방문자 수는 28,441만명으로 1관당 방문자 수는 2018년 253,465명에서 2019년 250,804명으로 2,661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2018년 대비 1.0% 감소한 수치로 1관당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 누리집 접속 건수는 전년 대비 44.3% 증가, 전자자료 개수는 전년 대비 67.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도서관 정책 개발과 도서관 동향 및 현안에 대한 보고서 제작 등에 활용해 도서관 통계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아직 코로나19가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면 방식을 통한 국민들의 독서환경 서비스 요구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공공도서관이 변화에 발맞춘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기반과 서비스 관련 지표는 꾸준히 개선되어 지식정보사회, 문화예술사회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확충에 따라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수는 2018년 1,096개관에서 2019년 1,134개관으로 38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45,723명으로 전년 대비 봉사대상 인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 이용객이 더욱 편안하고 쾌적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 공공도서관 수를 살펴보면, 경기 277개관, 서울 180개관, 경남 72개관, 전남 70개관, 경북 66개관, 충남 63개관 순으로 공공도서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공공도서관은 경기지역에서 13개관, 서울지역에서 7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지역의 도서관 확충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를 볼 때 여전히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의 공공도서관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의 장서 수는 약 1억 1,508만 권이며 1관당 장서 수는 10만 1,486권으로 0.8% 증가,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22권으로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공도서관 수뿐만 아니라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증가해 공공도서관의 전반적인 기반시설과 서비스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공공도서관의 직원 수는 17,558명으로 2018년 16,576명에서 982명 증가했다.
이는 1관당 직원 수로 살펴보면 15.5명으로 2018명 15.1명에서 0.4명 증가한 것이다.
공공도서관 직원 중 사서직은 6,794명으로 1관당 사서직 직원 수는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2019년 공공도서관 연간 방문자 수는 28,441만명으로 1관당 방문자 수는 2018년 253,465명에서 2019년 250,804명으로 2,661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2018년 대비 1.0% 감소한 수치로 1관당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 누리집 접속 건수는 전년 대비 44.3% 증가, 전자자료 개수는 전년 대비 67.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도서관 정책 개발과 도서관 동향 및 현안에 대한 보고서 제작 등에 활용해 도서관 통계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아직 코로나19가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면 방식을 통한 국민들의 독서환경 서비스 요구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공공도서관이 변화에 발맞춘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