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실이 입수한 ‘국가교육회의 핵심당사자 집중숙의 참여자 현황’에 따르면, 전체 집중숙의 참여자 32명 중 시도교육감협의회 관련자 4명, 교원단체/대학생연합/대학총장협의회/교육대학원장협의회 관련자 14인, 전문가/시민 14인이 포함되어 있지만,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을 경험하고 가르치고 연구하는 분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미래 학교와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에서 교육의 중심축인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이 빠진다는 의미로 유아·특수교육 관련 교원양성에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전국 유치원의 수는 2020년 현재 8,705개로 초·중·고등학교에 못지않게 많다.
더군다나 유아교육의 공공성 확보는 현 정부의 국정과제이고 유치원 3법 문제에서 보셨듯이 국민적 관심사이기도 하다.
또한 특수학교는 그 수가 작다고 하더라도 공교육 영역에서 상대적 교육약자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에 대한 강득구 의원은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영역”이라고 지적하면서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은 교원양성체제 단계에서부터 국가적 차원의 세밀한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국가교육회의가 추진하고 있는 핵심참여자 집중숙의 과정에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계의 의견을 반영할 당사자가 반드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