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시설 내진보강사업은 2016년 경주와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학교 건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본격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2009년 이전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학교내 교사·체육관·기숙사·급식시설·강당 용도의 건축물, 2층 또는 200㎡ 이상의 일반건축물을 대상으로 한다.
학교 내진보강 공사의 경우 내진 성능평가 단계부터 공사 완료 시점까지 평균 12.5개월이 소요되고 단계별 보고서와 감독 관리가 필요해 높은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또 공사 때 석면 해체·제거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환경단체나 학부모 민원 등으로 공사 추진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지난해 10월부터 약 6개월에 걸쳐 ‘학교시설 내진보강사업 최적화 연구용역’을 시행해 이러한 문제를 검토, 연구용역은 외부공사 중심의 내진보강사업 추진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지침을 마련했다.
도교육청은 연구용역 내용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26일 교육지원청과 학교의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내진보강사업 역랑강화 교육’을 진행한다.
도교육청 한근수 교육환경개선과장은 “학교 현장에 적합한 외부보강 중심의 내진보강공법을 제시해 학교시설 내진보강사업을 조기에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